본문 바로가기
728x90

증명2

형식논리의 증명 교환법칙, 멱등성, 대우의 법칙과 결합법칙, 분배법칙 그리고 드 모르간의 법칙에서는 각 연산에 대한 진리표를 만들어서 그 결과인 진리값을 확인하는 형태로 증명을 진행했습니다.하지만 점차 복잡해지는 논리를 이러한 방식대로 진행하기에는 무리가 있으며 앞으로는 연역법으로 증명을 진행하고자 합니다.따라서 이 글에서는 연역법으로는 어떻게 증명되는지 살펴보겠습니다.모든 증명에 필요한 정의나 정리를 한꺼번에 알고 진행할 수는 없으며 각 증명을 진행할 때 필요한 정의와 정리를 추가적으로 알아보아야 한다는 점을 기억하고 넘어갈 필요가 있습니다.모순의 정의모든 논리적 가능성에서 거짓으로 계산되는 논리식을 "모순(contradiction)"이라고 부릅니다.귀류법에 대해서 알아볼 때 살펴본 모순은 어원에 따른 개념이었다면 여.. 2025. 4. 30.
증명 어원증명(Proof, 證明)은 "검사하다, 판단하다"라는 뜻을 가진 라틴어 "probare"에서 비롯되었습니다.역사 "probare"에서 같은 뜻을 가진 고대 프랑스어 "prover"로 발전하고 중세 영어에서 "prouen"과 함께 "proof"로 정착되었습니다. "proof"의 원래 뜻은 "시험, 증거"등의 뜻으로 과거에는 "시험(test)"의 의미가 강했으나 현대에는 "확실한 증거(evidence)"의 의미로 더 많이 사용됩니다.의미수학에서는 "어떠한 명제가 참이 되는 확실한 증거"라는 의미로 발전하였고 이는 "어떤 명제가 참임을 논리적으로 입증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한자로는 證明이며 이는 “증거 증(證)”과 “밝을 명(明)”을 사용하는데 여기서 " 明"은 "해와 달 처럼 밝다"라는 뜻에서 "분명하.. 2025. 2. 14.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