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에서 집합을 다룰 때, 어떤 원소들이 "같다"고 볼 수 있는지를 정의하는 일은 매우 중요합니다. 이때 자주 등장하는 개념이 동치 관계(equivalence relation) 와 분할(partition) 입니다. 이 두 개념은 서로 독립적으로 정의되지만, 실제로는 서로를 정확히 규정해 줄 정도로 밀접한 관계를 가집니다. 이 글에서는 두 개념의 정의와 예시를 살펴보고, 이들이 서로를 어떻게 결정하는지를 증명을 통해 알아보겠습니다.
이 시리즈는 "함수의 기초"이지만 분할과 동치관계, 동치류 등은 추상적인 개념이므로 직관적으로 이해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대학교 수준의 서술이 필요하지 않은 분들은 가볍게 보고 넘어가셔도 좋습니다.
분할 (Partition)
비어 있지 않은 집합 X에 대해, P가 X의 분할(Partition)이라 함은 다음 조건을 만족하는 X의 공집합이 아닌 서로소 부분집합들의 집합을 의미합니다.
- 각 A∈P는 공집합이 아니다.
- 서로 다른 두 집합 A,B∈P에 대해 A≠B ⇒ A∩B=∅
- ∪_(A∈P) A = X : 기본적으로 집합족의 표기를 할 수 없으므로 앞으로 이런식으로 표기하겠습니다.
즉, X를 겹치지 않게 나누어 전체를 완전히 덮는 것이라 볼 수 있습니다.
예를 하나 살펴보면
정수 집합 ℤ를 짝수와 홀수로 나눈 집합 {Z₀, Z₁}은 분할입니다.
- Z₀ = {x∈ℤ | x≡0 (mod 2)}
- Z₁ = {x∈ℤ | x≡1 (mod 2)}
각 원소는 오직 하나의 집합에 속하고, 두 집합의 합집합은 전체 ℤ가 됩니다.
동치 관계 (Equivalence Relation)
동치 관계는 앞서서 살펴본 관계에서 간단하게 살펴보았으나 중요한 내용이므로 다시 한번 살펴보겠습니다.
집합 X 안의 관계 ⨁ ⊆ X×X가 다음 세 조건을 만족하면 ⨁를 X위의 동치 관계(equivalence relation)라고 합니다.
- 반사적(reflexive) 특성: 모든 x∈X에 대해 x ⨁ x가 성립
- 대칭적(symmetric) 특성: x ⨁ y ⇒ y ⨁ x
- 추이적(transitive) 특성: x ⨁ y ∧ y ⨁ z ⇒ x ⨁ z
위에서 살펴본 예제인 정수 ℤ에 대해 x⨁y = x≡y (mod 2)는 동치 관계입니다.
동치류 (Equivalence class)
동치 관계 ⨁에 대해, x∈X가 주어졌을 때 x에 대한 동치류(Equivalence class)는 다음과 같이 정의됩니다:
x / ⨁ = {y∈X | y⨁x}
전체 동치류의 집합 X / ⨁ = {x / ⨁ | x∈X}는 X의 분할이 됩니다. 이는 아래의 정리로 증명할 수 있습니다.
정리 1
- ⨁가 X 위의 동치 관계이면 X / ⨁는 X의 분할입니다.
증명>
- 각 x / ⨁는 동치 관계의 반사적 특성(x ⨁ x)을 만족하므로 공집합이 아니며 따라서 분할의 첫번째 조건을 만족합니다
- 분할의 두번째 조건은 A≠B ⇒ A∩B=∅이므로 대우의 법칙에 의해 A∩B≠∅ ⇒ A=B를 증명해보도록 하겠습니다.
- 가정(A∩B≠∅)에 의해 어떤 z∈(x/⨁ ∩ y/⨁)가 존재하며 따라서 z ⨁ x ∧ z ⨁ y가 성립합니다.
- 이는 동치 관계의 대칭적 특성(x ⨁ y ⇒ y ⨁ x)에 의해 x ⨁ z ∧ z ⨁ y가 만족하고
- 역시 동치 관계의 추이적 특성(x ⨁ y ∧ y ⨁ z ⇒ x ⨁ z)에 따라 x ⨁ y가 성립합니다.
- 이는 동치류의 정의에 의해 x / ⨁ = {y∈X | y⨁x} 및 y / ⨁ = {x∈X | x⨁y}라고 둘 수 있으며
- 따라서 x / ⨁ = y / ⨁, 즉, A=B가 성립합니다.
- 각 x∈X는 자기 동치류 x / ⨁에 속하므로 이들의 전체 합집합은 X가 되므로 분할의 세번째 조건을 만족합니다.
집합 X의 분할이 P일 때, 아래와 같이 관계 X / P를 정의할 수 있습니다:
x(X / P)y ⇔ ∃A∈P such that x,y∈A
여기서 such that이라는 말은 "..과 같은"의 의미로 ∃A∈P such that x,y∈A는
"x,y∈A인 A∈P가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라는 의미로 받아들일 수 있습니다.
정리 2
- 관계 X / P는 X 위의 동치 관계이며, 이에 따른 동치류 x / (X / P)는 정확히 x가 속한 집합인 A∈P입니다. 즉, X / (X / P) = P.
증명>
- 정의에 따라 x∈A ⇒ x(X / P)x 이므로 동치 관계 첫번째 조건인 반사적 특성이 성립합니다.
- 정의에 따라 x(X / P)y 및 y(X / P)x가 만족하므로 동치 관계 두번째 조건인 대칭적 특성이 성립합니다.
- 정의에 따라 x,y∈A 및 y,z∈B 를 둘 수 있는데 여기서 y∈A∩B ≠ ∅ 이 만족합니다.
- 이는 분할 두번째 조건의 대우의 규칙에 의해 A=B가 성립하며
- x,z∈A 이고 이는 관계 X / P의 정의에 따라 x(X / P)z를 만족하므로
- 이에 따라 동치 관계 세번째 조건인 추이적 특성이 성립합니다.
- X / (X / P) = P 의 증명은 아래와 같습니다.
- 임의의 x∈X에 대해 분할은 원소를 정확히 하나의 조각에만 포함시키므로 x는 정확히 하나의 A∈P에 속하게 됩니다.
- 이는 정의에 따라 x / (X / P) = {y∈X | x(X / P)y} = A 입니다.
- 반대로 A∈P인 경우 A≠∅ 이므로 어떤 x∈A가 존재하며 이는 앞서 봤듯이 x / (X / P) = A가 됩니다.
지금까지 살펴본 두 정리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임의의 동치 관계 E는 분할 P를 정의한다.
- 해당 분할로부터 다시 동치 관계 X / (X / E)를 정의하면 원래의 E를 다시 얻는다.
- 임의의 분할 P는 동치 관계 X / P를 정의한다.
- 이 동치 관계로부터 다시 분할 X / (X / P)를 정의하면 원래의 P를 다시 얻는다.
이처럼 동치 관계와 분할은 서로를 완전히 결정하며, 사실상 동일한 구조를 다른 방식으로 바라본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학문 > 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함수의 기초 (5) - 공역과 치역 (1) | 2025.06.14 |
---|---|
함수의 기초 (4) - 함수 (1) | 2025.06.11 |
함수의 기초 (2) - 관계 (0) | 2025.06.05 |
함수의 기초 (1) - 데카르트 곱 (0) | 2025.06.02 |
러셀의 역설과 전체집합의 개념 (0) | 2025.05.30 |